12/14/2018

[리뷰] 매미의 문장: 라운드 테이블 2차 리뷰

리뷰2018 아고라 매미의 문장 : 라운드테이블
 
매미의 문장 두 번째 라운드 테이블은 와우산 타이핑 클럽 (곽현지, 김이현, 송이랑, 이기원, 이상엽, 장예지, 조은채, 콘노유키), 스크린 테스트 (김보경, 백종관), 홍양산 (홍태림, 이양헌, 정강산) 의 프로젝트 발표와 영화 미디어학자 김지훈의 기획 렉처로 구성되었고, 박수지 큐레이터가 모더레이터로 참여하였다.
 
[와우산 텍스트 캐비닛 : 미술 텍스트 아카이브 구축하기]

20179월에 결성한 와우산 타이핑 클럽은 하반기 운영 예정인 텍스트 아카이브 프로젝트 와우산 텍스트 캐비닛(이하 WTC)’가 기존 동시대 비평 아카이브 구축 방식과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를 짚어보았다. WTC는 근 4~5년에 걸쳐 생긴 신생공간에서 파생한 텍스트와 2014년 이후 작가, 기획자, 비평가가 생산한 텍스트를 중점적으로 수집한다. 온라인상에서 휘발되기 쉬운 텍스트를 붙잡고, 반대로 유통 및 열람하기 쉽지 않은 지면의 텍스트를 온라인 아카이브로 끌어옴으로서, 1980~1990년대 생 미술 관련 종사자의 활동과 작업, 글을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는 프레임을 만들 예정이라고 한다. 물론 아카이브의 범위가 현재 이들이 가진 공신력과 신뢰도 내에서만 실행 가능하다는 점, 통계적 데이터로써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아카이브의 양 등 현실적인 한계도 있다. 그렇지만 실현할 수 없더라도, 그 필요성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발표자의 말처럼, 이러한 자기 조직적 전략은 글을 기고할 자리를 다방면으로 늘리고 이에 따른 메타 비평의 지속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들 뿐 아니라 신진 작가 및 기획자, 비평가의 현장성을 생생하고 첨예하게 다루고 있는 집단오찬, 옐로우 펜 클럽, 크리틱칼 등의 비평 플랫폼의 필요와 유효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리였다.
 
* 매미의 문서: 2018627,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구성원 3명의 글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피드백을 반영하는 시간을 가졌다. 2018927일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김정현 평론가와 만나 와우산 타이핑 클럽 활동에 대한 피드백, 메타 비평, 각자의 고민 등을 나눴다.
 
[무빙 이미지의 확장을 위한 수사학]

스크린 테스트1960년대의 무빙 이미지, 특히 1964년에서 66년까지 미국에서 활발했던 실험적 무빙 이미지 작업을 집약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금은 익숙한 영상 매체와 공간화이트 큐브, 블랙 박스 등이 당시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무빙 이미지가 다른 예술의 물리적, 제도적 공간 속에 어떻게 전복적 요인으로 도입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발표자는 주요 문헌으로 참조한 앤드류 V. 예르아스키(Andrew V. Uroskie)의 저서 Between the Black Box and the White Cube(2014)를 토대로, 연도별, 뉴욕 영화제와 확장영화 페스티벌의 현장과 주요 참여 작가 및 작품을 소개하였다. 로버트 휘트먼, 앤디 워홀, 켄 듀이, 스텐 벤더빅의 작품을 중심으로 영화적 장치의 재료의 특성들이 함유한 이질성, 불순성을 살펴보았는데, 미술관과 영화관을 오가며 변모하는 무빙 이미지의 다양한 전시 형태도 함께 짚어보았다. 이를 통해 무빙 이미지가 우리가 인지하는 내·외부환경과 접촉하며 일으키는 균열 지점들을 더욱 입체적으로 다가왔다.
이어진 기획 렉처는 스크린 테스트의 발표와 연관하여, 무빙 이미지 매체와 현대 미술과의 관련성을 전시의 영화에서 포스트 인터넷 아트까지 다양한 레퍼런스를 통해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영화관의 안팎에서 무빙 이미지의 운동성(mobility)이 어떻게 관람객과 시공간을 동요시키고 재구성하는지, 이러한 운동성이 어떻게 가상과 물리적 현존의 경계를 뒤섞고 주체를 굴절시키며 세계 자체를 유동적인 미디어 스페이스로 만드는지 구체적으로 둘러볼 수 있는 알찬 시간이었다.
 
* 매미의 문서: 2018625일부터 827일까지, 서교예술실험센터와 협의 후 이메일을 통해 무빙 이미지가 다른 예술의 물리적, 제도적 공간 속에 작용하는 전복적 요인, 무빙 이미지의 정의 범위, 이접 시네마, 종합 영화 등 을 연구하였다.
 
[서사, 픽션, 이야기꾼 : 민중미술과 제3세계의 플롯들]

홍양산은 각자의 주제를 세미나 형식으로 꾸렸다. ‘새로운 정치-프로젝트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이를 위해 민중미술과 제3세계를 실패한 에피소드가 아닌 새로운 픽션으로 구성하여, 그 안에서 축출할 수 있는 가치를 더듬어가는 연구자로서의 태도가 돋보였다. 그 예로 홍태림의 경우 최민화 작가의 작품 이미지 안에 보이는 표상을 통해 민족주의의 역사적 서사를 봄과 동시에, 드로잉에서 찾을 수 있는 작가의 사적 생활에 관한 연구를 함께 하여 서사로서의 패러다임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정강산은 제3세계의 급진성을 역사 안에서 세밀하게 살펴보고 자본주의, 전지구화와 제3세계와의 관계, 시지각적 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한국의 민중미술과의 연결 지점으로 연구 범위를 넓혔다. 이양헌을 포함하여 자신을 세 명의 이야기꾼으로 소개한 이들은 주제에 대한 관점을 다각적으로 주시하고자 한 명이 발표하면 나머지 멤버 두 명이 패널이 되는 방식으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연구 주제뿐만 아니라 모임 자체를 역사적으로 존재하지만 실패했던 서사적 에피소드로서 상정하고 로컬리티에 기반한 이야기꾼의 출현으로 자신을 위치시킨 점이 흥미로웠다.
 
*매미의 문서: 201871, 서울 모처의 카페에서 영화 및 다큐멘터리에서 관측되는 풍경의 회귀에 관한 모임을 가졌다. 815일까지는 스벤 뤼티켄의 ‘Viewing Copies: On the Mobility of Moving Images’를 함께 읽고 번역하였으며, 928일에는 민중미술에 대한 개괄적인 스케치 모임을 가졌다.
 
매미의 문장: 라운드 테이블에 참여하여 각 팀이 공유한 매미의 문서와 발표하는 모습을 보면서, 그동안 이들이 자신에게 공들였을 뜨거운 시간을 헤아릴 수 있었다. 규모가 큰 포럼이나 학회 발표에서는 느낄 수 없는 온도였다. 그만큼 문화·예술계의 기존 프레임을 맹신할 수 없는 각자의 상황도 미세하게 느껴졌다. 함께 연구하고 그 결과를 나누며 서로의 탈피와 갱신을 도모하는 또 다른 시간과 장소를 기대해본다.
 
*2018 아고라 <매미의 문장> 결과집은 20191월에 발간될 예정이다.

│프로젝트 명: 《2018 아고라매미의 문장》 2차 라운드 테이블
참여자: 박수지,와우산 타이핑 클럽 (곽현지김이현송이랑이기원이상엽장예지조은채콘노유키)〉,스크린 테스트 (김보경백종관),홍양산 (홍태림이양헌정강산)
일시: 2018년 10월 13일 토요일 오후 6-9시
 
text by 봄로야 
COPYRIGHT © Bom,roya / 서울문화재단 서교예술실험센터 All rights reserved.